
19회 서울드라마어워즈는 25일 오후 여의도 KBS홀에서 진행됐다. 이날 아나운서 배성재와 배우 설인아가 MC를 맡아 진행했다.
이날 권위 있는 부문이라 할 수 있는 국제초청부문 골든버그상은 HBO, 쿠팡플레이 시리즈 '동조자'의 박찬욱 감독이 수상했다. 그는 "경력을 시작한 후로 대개는 영화를 만들었다. 그렇지만 내 마음속 어린아이는 TV 드라마를 꿈꿔왔다. 왜냐면 많은 등장인물, 개성 강한 인물, 제각기 사연을 가진 인물들이 매력을 뽐내는 기회다. 그리고 수많은 사건, 어찌 보면 사소한 거 같아도 그것들이 다 모이면 큰 이야기를, 의미를 갖게 된다. 자질구리한 사건들이 긴 호흡을 모여 만들어내는 것 때문"이라고 드라마를 향한 애정을 보였다.
박찬욱 감독은 "이게 2시간짜리 영화면 애초부터 생략되고 배제되고 무시되고 편집에서 과감히 없어진다. 무엇보다도 빼놓을 수 없는 게 에피소드 끝날 때 탁 끝내서 다음을 기다리게 만드는 게 드라마의 꽃"이라며 "영화인은 영화만 만들고 드라마인은 드라마만 만드는 시대가 지나서 얼마나 좋나. 나도 드라마를 두 개나 만들어서 방송인이라고 불릴 수 있다. 영광스러운 상을 떳떳이 받겠다"라고 자부심을 드러냈다.

'동조자'에 출연한 배우 호아 쉬안데는 "이 자리를 빌려 박찬욱 감독님께 축하를 전하고 싶다. 감독님께서 영화, 스토리텔링, 드라마에 미친 영향은 전 세계를 넘어 호주에 사는 한 사람에게 전하게 됐다. '동조자' 오디션 공지를 읽다가 박 감독이 맡았다는 걸 알게 되고 독특한 명작이 되리라 알았다"라며 박찬욱 감독의 역량에 감탄했다.
박찬욱 감독과 같이 영화의 길을 걸었던 송강호도 디즈니+ 시리즈 '삼식이삼촌'으로 남자연기상을 받았다. 그는 "잘 알겠지만, 영화를 쭉 해오다가 조심스럽게 드라마를 한 편했다. 이렇게 큰 상을 주셔서 감개무량하고 영광스럽고 가슴이 벅차다. 만감이 교차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삼식이 삼촌'이란 드라마가 한국 콘텐츠의 다양성, 또는 드라마의 지평이 있다면 앞으로든 옆으로든 한 발자국이라고 해도 가능성을 보여준 드라마다. 오랫동안 기억이 됐으면 좋겠다"라며 "올해 참 무더웠다. 더운 날씨에 좋은 드라마를 위해 헌신하고 노력해준 감독님을 비롯한 스태프들, 보조연기자, 변요한, 이규형씨를 비롯한 배우들에게 경의를 받친다"라고 전했다.
한편 서울드라마어워즈는 지난 2006년부터 시작됐으며 올해로 19회를 맞이한 시상식이다. 전 세계 드라마를 대상으로 수상작과 수상자에게 상을 수여하며 올해는 48개국 346편의 드라마가 참석해 역대 최고 규모로 치러진다.


▲국제경쟁부문 작품상 단막극 '복숭아 누르지 마시오'(대한민국), '더 세인트'(체코)
▲국제경쟁부문 개인상 연출상 박인제 감독('무빙')
▲작가상 '삼체' 작가진
▲국제초청부문 아시아스타상 변우석, 김혜윤(대한민국), 시티 살레하(말레이시아), 킴 치우(필리핀), 데즈먼드 탄(싱가포르), 메타윈 오파이암카턴(태국)
▲국제경쟁부문 작품상 미니시리즈 장편 '시가렛 걸'(인도네시아), '삼체'(미국)
▲국제경쟁부문 장품상 장면 '어나더 러브'(튀르키예), '고려거란전쟁' (대한민국)
▲ 국제초청부문 특별상 '아이 러브 유'(Eye love you)(일본)
▲ 국제경쟁부문 개인상 남녀연기자상 송강호('삼식이삼촌'), 지리나 보다로우('더 세인트')
▲ K-드라마 부문 개인상 남자연기자상 안재홍('마스크걸'), 염혜란('마스크걸')
▲ K-드라마부문 작품상 '눈물의 여왕' '무빙'
▲ K-드라마부문 OST상 세븐틴 부석순 '자꾸만 웃게 돼'('눈물의 여왕')
▲ 국제경쟁부문 대상 '저스티스: 미스콘덕트'(브라질)
▲ 국제초청부문 골든버드상 박찬욱 감독('동조자')
<저작권자 © ‘리얼타임 연예스포츠 속보,스타의 모든 것’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리얼타임 연예스포츠 속보,스타의 모든 것’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