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속사 엠피엠지(MPMG)가 CJ ENM과 엠넷의 갑질 횡포를 폭로했다.
엠피엠지는 12일 오후 2시 서울 마포구 엠피엠지 건물 2층에서 대기업 갑질 관련 기자회견을 열었다. 현장에는 엠피엠지 이종현 PD와 김종희 변호사가 참석했다.
이날 이종현은 CJ ENM과 엠넷을 언급하고 "2022년 방송 투자를 했던 '그레이트 서울 인베이전'과 관련한 이슈를 꺼내고자 한다. 고민이 많았다. 당사자들을 소환하는 게 의미가 있나 생각도 했고 종영 이후 피해를 엄청나게 많이 봤다. 이후 엠넷에서 밴드 프로를 만들려 해서 가만 안 있겠다고 했다"라며 "이후 엠넷에서 결국 밴드 프로그램을 론칭하고 정통성을 강조하려 해서 선의의 피해자가 생길 것 같다는 생각에 분노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엠넷이 가진 마인드가 어떤건지 모르겠다. 우리가 보는 경연 프로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리고자 했다. 이날 신고가 접수됐을 것"이라며 "'그레이트 인베이전 서울'은 100% 민간 기업이 돈을 낸 사례다. 10원도 안 내고 IP를 가져간 경우도 없었고 일도 저희가 하고 돈도 추가로 댔고 홍보 음원 공연 촬영 등도 다 부담했다. 하지만 그때 화제성도 최악이었다"라고 말했다.
이종현 PD는 "2022년 가을 밴드 경연 프로를 보다가 밴드 신이 침체돼 있는 걸 보며 노하우를 갖고 경연에 참여해보자 해서 논의를 해왔다. 이후 CJ ENM 모 PD를 만났고 밴드 경연에 참여하고 싶다고 했더니 적극적으로 반응했다. 밴드판 '쇼미더머니'를 만들자고 제의가 왔다. 조건이 커버곡은 하지 말고 대우를 형편없게 하지 말았으면 했고 해외 프로모션도 원했다고 했다. 이에 CJ ENM에서 30억 제작을 요구했지만 부담됐음에도 결국 시작했고 계약서가 오고 갔다"라며 "이전에도 실패 사례가 있었기 때문에 계속 이야기를 했지만 믿어달라고 했고 협찬 계약서가 왔다. 이해가 안됐지만 믿고 시작했다. 이후 어느정도 진행되면서 이상한 걸 보기 시작했다. 심사위원 섭외가 안되고 밴드에 대해 잘 모르고, 외주를 데려오고 자료도 안 보내줬다. 어느 순간 내가 음악 감독이 됐다. 첫 녹화 이후 분위기가 안 좋았다. 이후 외주사 담당 PD가 그만둔다고 했고 방송을 미루자며 논의없이 통보했다"라고 말을 이었다.
이종현 PD는 "우리 회사가 극도로 노출이 배제됐다. 제작발표회 날짜도 몰랐고 아티스트 스케줄을 보고 알았다"라며 "알고보니 제작 투자 자체도 알고 있지 않았다. 이걸 망치는 순간 우리 평생의 꿈도 날라가서 참고 했다. 이후 새 PD가 제작발표회에 왔고 그 분의 역할도 모른다. 리얼리티 서사는 다 없어졌고 아티스트가 아닌 곳들에 돈이 쓸데없이 쓰였다. BTS 노래 커버 요구도 거절해서 엎은 적도 있다"라고도 주장했다.
이종현 PD는 "추가 비용까지 포함해서 50억 정도 비용이 발생했다. 부가 수익 사업도 협찬 광고 스폰 등으로 회수 방법이 없다보니 진행했지만 도저히 할수가 없었다"라며 "법적 조치도 증거를 수집해서 진행할 예정이다. CJ에 바라는 건 회사의 책임자가 이 사태를 알았는지 묻고 싶고 알았다면 사과를 받고 싶다. 선의의 피해자가 안 나왔으면 좋겠다"라고 답했다.
이종현 PD는 "밴드판 '쇼미더머니'가 언급됐고 성공을 수치화 할 수는 없지만 밴드 경연 나온 친구들이 단독 공연 때 관객 늘어나고 페스티벌 섭외 늘어나서 밴드 신에 붐이 일어났으면 한다는 게 목적이었다. '쇼미'까지는 아니더라도 '쇼미'만큼의 화제성은 있으면 좋겠다고 했다"라며 "세무 감사 때문에 엠넷에 30억 내역서를 달라고도 했지만 대답이 없었다. 엠넷은 투자하지 않았고, 계약서상 우리는 협찬사로 표기됐다. 실질적으로는 100% 제작비를 부담한 제작사인데 협찬 명목으로 묶였다. 제작 과정에서 합주실, 녹음실, 언론 홍보, 콘서트 대관료까지 전부 자체 부담했다. 결승전 제작비까지 추가로 요구받아 별도로 지급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제작 도중 자료 요청에도 응답이 없었고, 방송 편집본은 당일 받아보는 수준이었다. 심사위원 섭외부터 아티스트 지원, 마케팅까지 모든 업무를 떠맡았다. 결승전조차 돈이 없다는 이유로 제작을 미루려 했고 결국 자체 자금으로 진행했다. 엠넷은 PPL 한 건도 확보하지 않았다. 당시 담당 PD가 이미경 부회장과 식사하며 '기특한 프로그램을 기획했다'는 말을 들었다고 했다. 그 자리에서 엠피엠지가 30억원을 전액 부담했다는 사실을 아무도 모르고 있었다. 과연 이미경 부회장과 이재현 회장은 이런 구조를 알고 있었는지 묻고 싶고 문화기업을 표방하는 회사가 이런 식으로 중소 제작사를 이용하는 게 맞는지 모르겠다"라고 일갈했다.
<저작권자 © ‘리얼타임 연예스포츠 속보,스타의 모든 것’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리얼타임 연예스포츠 속보,스타의 모든 것’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