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 ARTIST AWARDS News Photo Content

News

"죽이고 싶더나"..'서울의 봄' 황정민, 정우성에 농담한 이유[종합]

  • 메가박스 코엑스=김나연 기자
  • 2023-11-09
답답하거나, 분노하거나. 141분의 러닝타임 동안 손에 땀을 쥐게 만든다. 모두가 다 알고 있는 사건을 흥미진진하게 극화해 감정의 소용돌이를 만드는 '서울의 봄'이다.

9일 서울시 강남구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영화 '서울의 봄'(감독 김성수)의 언론배급시사회가 개최됐다. 이 자리에는 황정민, 정우성, 이성민, 김성균, 김성수 감독이 참석해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다.

'서울의 봄'은 1979년 12월 12일 수도 서울에서 일어난 신군부 세력의 반란을 막기 위한 일촉즉발의 9시간을 그린 영화다. 12.12 군사반란을 소재로 했다.

김성수 감독은 '서울의 봄'을 연출한 계기에 대해 "제가 고등학교 3학년 때 한남동이 집이었고, 육군참모총장이 납치될 때 실제 총소리를 들었다"며 "근데 당시에는 그 일이 무슨 일인지 알 수가 없었다. 오랫동안 꽁꽁 숨겨져 있던 얘기였다. 제가 30대 중반이 된 후 그 일을 알게 됐을 때 당혹스럽고 놀라웠다. 이렇게 쉽게 우리나라 군대가 무너져 내릴 수 있는지 놀라움가 의구심이 44년간 이어져왔다"고 밝혔다.

이어 "그날의 사건이 한국 현대사에 운명적인 전환점이 됐는지가 저에게는 일종의 화두였다. 어찌 보면 저의 오래된 숙제를 이 영화로 보여드린다고 생각한다"며 "1979년 12월 12일로 돌아가서 제가 아는 상황을 재현한 다음에 이 사건에 휩쓸린 사람들의 선택에 대한 상상력을 가미해 극화했다. 그 안에 관객들을 밀어넣고, 경험해 보라고 하고 싶었다. 이 영화를 통해 궁금증이 생기신다면, 진짜 역사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고 찾아보지 않을까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각색하면서 실제 기록은 미뤄뒀다는 김성수 감독이다. 그는 "처음 시나리오를 받아봤을 때는 역사적 사실에 입각한 내용이었다. 이 시나리오로는 마치 다큐멘터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에 고사했다"면서 "근데 신군부 세력과 끝까지 맞섰던 군인들이 있었다. 신군부 세력에 끝까지 맞선 군인들이 있었기 때문에 그들의 범죄가 입증이 된 거다. 그 군인들이 신군부 세력과 맞서지 않았다면, 역사에서 승리자로 기록될 수 있었다. 그들과 맞섰던 훌륭한 진짜 군인들의 시선으로 보면 관객들이 이 영화를 반란군의 승리의 역사가 아니라 그들이 얼마나 잘못했는지를 알게 되지 않을까 싶었다"고 말했다.

이어 "처음에는 역사적 기록을 샅샅이 훑어봤는데 각색 작업을 하면서 실제 기록은 미뤄두고, 재밌는 이야기를 만들어보고자 했다. 신군부 세력은 대법원에서 큰 판결을 받았지만, '성공한 쿠데타는 처벌받을 수 없다'라는 논리로 입을 다물었다"며 "그분들끼리 있을 때 어떻게 행동했을지 멋대로 만들었다. 제 해석에 입각한 거고, 제 해석을 배우들이 해석해서 각자의 방식으로 훌륭하게 표현했다고 생각한다. 또 영화라는 것은 창작을 통해서 새로운 영역으로 점화되는 거다. 창작의 영역으로 넘어가서 또다른 하나의 이야기가 될 때는 비율로 나누기는 힘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서울의 봄'은 필모그래피 사상 가장 강렬한 변신이 인상적인 황정민을 필두로 정우성, 이성민, 박해준, 김성균 등의 탄탄한 주연진과 굵직한 연기파 배우들까지 빈틈없는 진용을 갖췄다.

황정민은 권력을 위해 못 할 것이 없는 반란군이 가진 탐욕의 민낯을 소름 돋게 그려낸다. 그는 "시나리오 안에 정답이 있었고, 그를 통해 전두광이라는 인물을 만들어냈다"고 밝혔다.

이어 전두환을 모티브로 한 인물을 표현한 데 대해서는 "대머리 가발 분장에 대한 두려움은 없었다. 특수분장 팀이 워낙 잘해주셨다. 기본 4시간 정도 걸리는데 익숙해지다 보니까 3시간 30분 정도 걸리더라. 일찍 일어나는 것 빼고는 힘든 게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다른 작품에서 악역도 꽤 많이 했는데 이번에는 전두광이라는 인물을 연기했다. 제 나름대로는 다 다르게 연기했고, 다른 색깔을 가진 인물이라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정우성은 수도경비사령관 이태신 역을 맡았다. 이태신은 전두광(황정민 분)의 신군부에 맞선 진압군의 핵심 인물로, 탐욕 그 자체인 전두광과 정반대 지점에 서 있는 신념과 책임감의 군인정신에 투철한 인물이다.

그는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했다는 걸 부정할 수는 없다. 근데 영화는 영화 나름대로 재해석한 것"이라며 "실제 사건에 대한 부담감을 털어내고, 모티브가 되는 인물이 있지만 저 같은 경우는 이태신이라는 인물을 만들 때 당시 수도경비사령관의 이야기를 배척하려고 노력했다. 감독님 역시 '서울의 봄'에서는 이태신이 실제 사건에서 먼 가공된 인물이라고 말씀해 주셔서 시나리오에서 찾아가는 작업의 연속이었다. 이전보다 감독님에게 더 많이 기댔던 인물이었다"고 말했다.

'헌트' 속 캐릭터와 겹쳐 보인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실제로 이 영화를 제안받았을 때 '헌트' 촬영이 끝나는 타이밍이었다. 감독님에게도 이 영화가 나오면 '헌트' 속 인물과 비슷할 수 있는데 괜찮으시냐고 물었다. 사실상 고사했는데 감독님이 전혀 다른 인물이라서 상관없다고 하시더라. 그렇게 보시는 분들은 어쩔 수 없지만, 굳이 의식할 필요는 없다는 말씀에 용기 내서 하게 됐다"고 전했다.

또한 정우성은 "사실 전두광 패거리 신을 보면 다양한 인간군상의 연기적인 하모니가 부러웠다. 저는 전화기 너머에 사정하는 연기를 하느라 답답했는데 영화를 보면서도 기가 쭉쭉 빨렸다"고 덧붙였다.

육군참모총장 정상호 역을 맡은 이성민은 "김성수 감독님과 처음 작업했다. 저를 선택해 주셨고, 감독님을 실망하게 하지 않기 위해 긴장하면서 촬영했다. 이미 역사적으로 알고 있는 사실을 연기한다는 것이 어떤 긴장감을 줄지에 대해 고민했다"며 "초반부 전두광과 함께 대립하며 긴장감을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황정민한테 졸면 안 된다는 생각이 강했다"고 말해 웃음을 안겼다.

헌병감 김준엽 역의 김성균은 "존경하는 김성수 감독님, 선배님들과 함께 연기하는 것을 영광으로 생각하며 촬영했다"며 "12.12 군사 반란을 소재로 한 영화기 때문에 결말을 알면서 봤는데도 손에 땀을 쥐고 흥미진진하게 봐서 시나리오대로 감독님 믿고 열심히 했다. 현장도 너무 좋았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정우성은 초반 앙상블에 대한 질문의 답을 더하고 싶다며 "이성민 배우와 긴 호흡의 연기는 처음이었다. 처음 연기를 같이할 때 마치 구름 위에 나를 얹어두고 둥실둥실 띄워주는 기분을 느꼈다"고 말했다. 이에 황정민은 "나는 어떻나. 죽이고 싶더냐"라고 농담해 눈길을 끌었다. 그러면서 "저도 인제야 농담이 나온다. 영화 보고 나서 감정의 소용돌이가 쳤다"고 밝혔다.

김성수 감독은 "국내 최고의 스태프들이 함께했고, 배우들이 엄청난 연기의 향연을 보여줬다고 생각한다. 영화 만든 감독니 자기 영화에 대해 이렇게 말하면 바보 같지만, 저는 자부심이 있다"고 기대를 당부했다.
메가박스 코엑스=김나연 기자 | ny0119@mtstarnews.com
Go to Top
2019 Asia Artist Awards

투표 준비중입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