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선 곳, 낯선 사람, 낯선 것 등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사람이 있지만, 이를 주저하는 사람도 있다. 망설이는 이들을 움직이게 하는 여러 가지 것들 중에는 타인의 격려, 스스로 갖는 용기 등이 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이하 '정신병동')는 주저하는 이들을 격려하고, 이들에게 용기를 갖게 한다.
최근 공개된 '정신병동'은 정신건강의학과 근무를 처음 하게 된 간호사 정다은(박보영 분)이 정신병동 안에서 만나는 세상과 마음 시린 사람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그린다.
이 작품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것은 '직시'다. 보통 몸이 아픈 경우, 증세와 관련된 병원을 찾아 의사에게 얘기한다. "저 배가 아파요", "치통이 심해요"라고. 그러나 마음이 아프면 통증을 외면하려 한다. '잠을 못 자 그런 거겠지', '피곤해서 그런 거겠지'라고 생각하며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회피는 내면에 상처가 난 환자를 나약하게만 바라보는 타인 혹은 본인의 시선 때문일 수 있다. 정신병에 대한 선입견과 편견이 많이 사라졌다고 해도 여전히 부정적인 인식이 남아 있다. 이에 마음의 고통을 숨기는 이들이 많다. '정신병동' 대사를 통해서도 아파도 병원을 찾지 않는 환자들이 많다는 걸 알 수 있다.
'정신병동' 속 의사들은 환자를 만나면 제일 먼저 어디가 아프고, 어떻게 힘든지를 묻는다. 자신의 병 상태를 인지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도 조언한다. 환자가 아픈 이유를 알게 되면, 의사는 이를 낫게 할 약을 처방한다. 치료를 위해 직시가 필요한 셈이다. 환자가 자신의 상태를 알고, 의사가 상처 난 곳을 치료하는 과정은 여느 병원과 같다. 이는 '정신병동'의 주된 스토리이자 작품이 전달하려는 주요한 메시지 중 하나다. 아픈 곳만 다를 뿐 다를 게 없다고, 그러니 용기 내 치료받으라고 격려한다.
본인의 상태를 직시하지 못한 채 곪아가는 이들을 위한 친절한 설명이 있다. 바로 상세한 증상 묘사다. 공간이 침수되고 질식할 듯한 공포에 사로잡히는 공황장애, 빠져나올 수 없는 늪에 빠지는 것 같은 우울증, 눈앞에서 게임 속 캐릭터가 뛰어다니고 용이 날아다니는 게임 중독증, 경쾌한 음악이 흐르는 나만의 무대에서 옷을 벗고 뛰며 해방감을 느끼는 조증,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이 눈앞에서 반복해서 재생되는 자살 생존자 등을 표현하는 장면 등이 그 예다.
너무나 상세한 표현들로 부정적인 감정에 동화되는 경우가 있지만, 비슷한 증세를 가진 이들에겐 병을 인지하게 하는 장치들이다. 작품에 따르면 보통 정신병을 앓고 있는 사람은 자신의 병을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고 한다. 인정하는 것에도 용기가 필요하다. '정신병동'에서는 다양한 환자들의 모습을 통해 자신의 몸 상태를 살펴보고, 병을 인지하는 용기를 갖게 한다.
'정신병동'은 대체로 병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어 무거운 느낌을 준다. 그러나 작품 전체가 그 분위기에 압도되는 것은 아니다. 항문외과 전문의의 이름이 '똥꼬'를 연상하게 하는 '동고윤(연우진 분)'이라는 것만 봐도 그렇다. 유쾌한 환자, 의료진이 함께하는 명랑한 병원 생활도 담겼다. 유난히 하얗고 정적일 것만 같은 선입견 속 정신병원의 모습을 지워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러브라인도 '정신병동'을 잠시나마 가볍게 즐길 수 있는 또 다른 관전 포인트다. 소꿉친구 정다은·송유찬(장동윤 분)과 두 사람 사이에 끼어든 동고윤과의 삼각관계, 의사 가문의 재벌남 황여환(장률 분)과 찢어지게 가난한 민들레(이이담 분)의 핑크빛 이야기로 시청자들에게 설렘이란 긍정적인 감정을 전달한다.
'정신병동'이 공익적인 이유로 제작됐다고 확신할 수는 없다. 높은 화제성을 좇기 위해 자극적인 소재와 지나치게 상세한 묘사를 담아냈을 수 있다. 그러나 '정신병동'을 본 누군가의 마음을 울리게 했다면, 또 어떠한 것을 결심하게 하는 격려와 용기를 전달했다면 작품이 주려 하는 메시지도 하나쯤 있는 게 분명하다. 지금까지 망설여왔고, 지금도 주저하고 있는 몇몇 이들에게 '정신병원'을 추천하는 이유다.
최혜진 기자
| hj_622@mtstarnews.com
최근 공개된 '정신병동'은 정신건강의학과 근무를 처음 하게 된 간호사 정다은(박보영 분)이 정신병동 안에서 만나는 세상과 마음 시린 사람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그린다.
이 작품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것은 '직시'다. 보통 몸이 아픈 경우, 증세와 관련된 병원을 찾아 의사에게 얘기한다. "저 배가 아파요", "치통이 심해요"라고. 그러나 마음이 아프면 통증을 외면하려 한다. '잠을 못 자 그런 거겠지', '피곤해서 그런 거겠지'라고 생각하며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회피는 내면에 상처가 난 환자를 나약하게만 바라보는 타인 혹은 본인의 시선 때문일 수 있다. 정신병에 대한 선입견과 편견이 많이 사라졌다고 해도 여전히 부정적인 인식이 남아 있다. 이에 마음의 고통을 숨기는 이들이 많다. '정신병동' 대사를 통해서도 아파도 병원을 찾지 않는 환자들이 많다는 걸 알 수 있다.
'정신병동' 속 의사들은 환자를 만나면 제일 먼저 어디가 아프고, 어떻게 힘든지를 묻는다. 자신의 병 상태를 인지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도 조언한다. 환자가 아픈 이유를 알게 되면, 의사는 이를 낫게 할 약을 처방한다. 치료를 위해 직시가 필요한 셈이다. 환자가 자신의 상태를 알고, 의사가 상처 난 곳을 치료하는 과정은 여느 병원과 같다. 이는 '정신병동'의 주된 스토리이자 작품이 전달하려는 주요한 메시지 중 하나다. 아픈 곳만 다를 뿐 다를 게 없다고, 그러니 용기 내 치료받으라고 격려한다.
본인의 상태를 직시하지 못한 채 곪아가는 이들을 위한 친절한 설명이 있다. 바로 상세한 증상 묘사다. 공간이 침수되고 질식할 듯한 공포에 사로잡히는 공황장애, 빠져나올 수 없는 늪에 빠지는 것 같은 우울증, 눈앞에서 게임 속 캐릭터가 뛰어다니고 용이 날아다니는 게임 중독증, 경쾌한 음악이 흐르는 나만의 무대에서 옷을 벗고 뛰며 해방감을 느끼는 조증,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이 눈앞에서 반복해서 재생되는 자살 생존자 등을 표현하는 장면 등이 그 예다.
너무나 상세한 표현들로 부정적인 감정에 동화되는 경우가 있지만, 비슷한 증세를 가진 이들에겐 병을 인지하게 하는 장치들이다. 작품에 따르면 보통 정신병을 앓고 있는 사람은 자신의 병을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고 한다. 인정하는 것에도 용기가 필요하다. '정신병동'에서는 다양한 환자들의 모습을 통해 자신의 몸 상태를 살펴보고, 병을 인지하는 용기를 갖게 한다.
'정신병동'은 대체로 병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어 무거운 느낌을 준다. 그러나 작품 전체가 그 분위기에 압도되는 것은 아니다. 항문외과 전문의의 이름이 '똥꼬'를 연상하게 하는 '동고윤(연우진 분)'이라는 것만 봐도 그렇다. 유쾌한 환자, 의료진이 함께하는 명랑한 병원 생활도 담겼다. 유난히 하얗고 정적일 것만 같은 선입견 속 정신병원의 모습을 지워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러브라인도 '정신병동'을 잠시나마 가볍게 즐길 수 있는 또 다른 관전 포인트다. 소꿉친구 정다은·송유찬(장동윤 분)과 두 사람 사이에 끼어든 동고윤과의 삼각관계, 의사 가문의 재벌남 황여환(장률 분)과 찢어지게 가난한 민들레(이이담 분)의 핑크빛 이야기로 시청자들에게 설렘이란 긍정적인 감정을 전달한다.
'정신병동'이 공익적인 이유로 제작됐다고 확신할 수는 없다. 높은 화제성을 좇기 위해 자극적인 소재와 지나치게 상세한 묘사를 담아냈을 수 있다. 그러나 '정신병동'을 본 누군가의 마음을 울리게 했다면, 또 어떠한 것을 결심하게 하는 격려와 용기를 전달했다면 작품이 주려 하는 메시지도 하나쯤 있는 게 분명하다. 지금까지 망설여왔고, 지금도 주저하고 있는 몇몇 이들에게 '정신병원'을 추천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리얼타임 연예스포츠 속보,스타의 모든 것’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리얼타임 연예스포츠 속보,스타의 모든 것’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