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f.asiaartistawards.com/news/21/2023/12/2023121912542824690_1.jpg)
19일 서울시 종로구 소격동의 한 카페에서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의 김한민 감독과 만나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다.
'노량: 죽음의 바다'는 임진왜란 발발 후 7년, 조선에서 퇴각하려는 왜군을 완벽하게 섬멸하기 위한 이순신 장군의 최후의 전투를 그린 전쟁 액션 대작. 김한민 감독은 '명량'(2014)을 시작으로 '한산: 용의 출현'(2022), '노량: 죽음의 바다'에 이르기까지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하나의 시리즈, 세 명의 캐스팅이라는 획기적인 기획 하에 준비 기간까지 포함하면 10년이 훌쩍 넘는 과정을 통해 이순신 3부작 프로젝트를 완성해냈다.
이날 김한민 감독은 "이런 날이 오는구나 싶다. 어떻게 보면 '명량'부터 '노량: 죽음의 바다'까지 시간이 금방 갔다. 유종의 미를 거둬야 한다는 생각도 있었고, 그러기 위해서는 영화마다 만드는 의미를 분명하고 정확하게 담아야 한다는 생각도 강했다. 제가 의도한대로 영화를 만든 것 같아서 뿌듯하다"라고 전했다.
시사회 이후 반응에 대해서는 "'노량: 죽음의 바다'는 장군님이 돌아가시는 이야기가 담겨있는제 절제하고, 담백한 것 같아서 의아하다는 반응도 있는 것 같다"며 "그게 상업적으로 어필할 수 있을지 반신반의하는 반응도 있는 것 같은데 저는 이순신 장군의 죽음이 후대에 남기는 목소리가 있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 부분에 초점을 맞춰서 진실성을 최대한 담아내고자 했고, 영화의 톤앤매너를 끌고 갔다. 담백하게 연출한 데 대해 후회는 없다"면서 "장군님이 어떤 맥을 가지고 돌아가셨을까를 고민했다. 그런 지점에서 '결코 이 전쟁을 이대로 끝내서는 안 된다'라는 대사가 추가됐는데, 그 대사가 이순신 장군에게 누가 되지는 않을 거라는 마음이다. 저한테 잘했다고 격려해 주시지 않을까라는 확신이 있었다"고 말했다.
![](https://cf.asiaartistawards.com/news/21/2023/12/2023121912542824690_2.jpg)
이어 "마지막 이순신 장군의 최후 장면도 그런 대사를 과감하게 쓰려고 했다. 그렇게 하다 보니 노량해전 설계에 대한 방향이 섰고, 어떤 의문도 없이 치열하고 성실하게, 또 지치지 않고 찍을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한민 감독은 해상전에서 나올 수 있는 모든 전투 상황들을 충실하게 담은 액션 블록버스터를 완성했다. 100여 분이 넘는 해전 연출에 공을 들여 전투에서 느낄 수 있는 카타르시스를 최대한도로 전달하며 최후의 승리를 스크린에 구현해냈다.
김한민 감독은 "'명량'을 할 때만 해도 전쟁 액션은 10~15분 넘어가면 힘들어서 못 본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근데 '명량'에서 61분, '한산: 용의 출현'에서 51분, '노량: 죽음의 바다'에서는 100여분에 가까운 시간을 해전신에 할애했다"며 "이순신 장군의 해전신을 제대로 보여준 작품은 없다는 생각이 들었고, 그 해전 속에서 삶과 죽음의 대한 생각, 장군님의 리더십이 가장 잘 드러났을 거기 때문에 제대로 포커싱을 맞춰서 영화를 만들어보고 싶었다"고 밝혔다.
'명량'에서의 도전이 관객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고, 김한민 감독은 '한산: 용의 출현', '노량: 죽음의 바다'에서 더 장대한 서사와 큰 스케일의 해전신을 완성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해 김한민 감독은 "이번 작품에서는 수월한 점도, 어려운 점도 있었다"고 털어놨다.
그는 "'명량' 때는 포 한 번 쏘는 것도 버벅거렸다. 어떤 식으로 연상화되고, 어떤 식으로 다시 쏴지는지 하나하나가 힘들었는데 그 뒤에는 훨씬 수월해졌고, 디테일의 조절하는 데 집중했다"며 "'노량: 죽음의 바다'는 한 척의 배가 아니라 함대전으로 이뤄졌기 때문에 힘들었던 것은 사운드였다. 박진감 있는 사운드로만 구성해서도 안 될 것 같고, 전쟁의 치열함만 보여주는 게 아니라 인물의 정서도 담아야 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다 보니까 각 나라의 특징이 사운드에 담겼으면 좋겠고, 100분을 진행하다 보니까 완급조절이 있어야 관객들이 따라올 수 있다는 생각에 리듬과 호흡에 신경 썼다"며 "그게 하나의 오케스트라가 돼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밸런스가 맞지 않으면 관객들에게 어필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사운드 작업의 노력과 고충이 있었다. 시사회 전날까지도 사운드 작업을 계속하고 있던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https://cf.asiaartistawards.com/news/21/2023/12/2023121912542824690_3.jpg)
'노량: 죽음의 바다'를 끝으로 이순신 3부작을 마무리하게 된 김한민 감독은 "참 운이 좋았구나 싶다. 아무리 열심히 만들려고 해도 운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이렇게 갈 수 없다고 생각한다. '명량' 때는 세월호 참사가 있었고, '한산: 용의 출현'과 '노량: 죽음의 바다' 때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있어서 엎어질 수도 있었던 상황인데 묘하게 끌고 가더라"라며 "그건 굉장한 천운인 것 같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노량: 죽음의 바다'를 통해 조선 수군, 이순신 함대가 역사적으로 재평가 받았으면 좋겠다. 전 세계적으로 그런 함대와 그런 장수가 없었다"고 자부심을 표현했다.
<저작권자 © ‘리얼타임 연예스포츠 속보,스타의 모든 것’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리얼타임 연예스포츠 속보,스타의 모든 것’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