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량: 죽음의 바다'의 배우 김윤석이 이순신 장군의 최후를 연기하기 전 감정을 밝혔다.
20일 서울시 종로구 소격동의 한 카페에서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감독 김한민)의 김윤석과 만나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다.
'노량: 죽음의 바다'는 임진왜란 발발 후 7년, 조선에서 퇴각하려는 왜군을 완벽하게 섬멸하기 위한 이순신 장군의 최후의 전투를 그린 전쟁 액션 대작. 김윤석은 굳건한 신념과 현명한 성정을 지닌 조선 최고의 장군이자 조선의 바다를 지키는 조선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 역을 맡아 열연을 펼쳤다.
이날 김윤석은 "시나리오로 러브레터를 받았고, 전체 브리핑을 들었다. (김한민 감독이) 대본을 한 장 한 장을 넘기면서 왜 이 장면을 넣었는지 설명했다. 일단 제가 그 자리에 나갔다는 건 이 작품에 매력을 느꼈다는 거다. 아니면 만나지도 않았을 것"이라며 "그 브리핑이 끝날 때까지 유지가 됐다. 감독님의 선택에 충분히 공감했고, 나는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수밖에 없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그는 '노량: 죽음의 바다' 시나리오의 첫인상에 대해 "'명량', '한산: 용의 출현'까지 나왔을 때 노량해전까지 그려지겠구나 싶었다. 그런데 실제로 저한테 왔을 때 부담스럽기도 하고, 호기심도 생겼다. 근데 시나리오를 봤는데 역시나 훌륭하다고 생각했다. 노량해전뿐만 아닌 7년 전쟁의 의미, 조선과 명, 왜 3국의 입장과 관계가 뒤얽혀 있는 드라마의 밀도가 굉장히 좋았다"고 말했다.
이어 "'노량: 죽음의 바다'에서는 7년 전쟁 동안 이순신 장군의 연과 한이 나올 수밖에 없는 장면이 될 수밖에 없겠다. 그런 것이 없었다면 ''명량'과 '한산: 용의 출현'에서 장군님의 모습이 다 나왔는데 내가 할 필요가 있나?'라는 생각이 들었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특히 '노량: 죽음의 바다'에서는 이순신 장군의 최후가 그려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부담감도 컸을 터. 김윤석은 "'1987'의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라는 대사도 그렇고, 이순신 장군의 최후와 유언도 그렇고, '이 대사를 내가 한다니'라는 마음이었다"며 "그 장면을 찍을 때는 '장군님이라면 이 치열한 전투의 정점에서 죽음을 맞이했을 때 어떤 감정이었을까?'라는 생각을 많이 하면서 대사를 하려고 했다"고 전했다.
김나연 기자
| ny0119@mtstarnews.com
20일 서울시 종로구 소격동의 한 카페에서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감독 김한민)의 김윤석과 만나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다.
'노량: 죽음의 바다'는 임진왜란 발발 후 7년, 조선에서 퇴각하려는 왜군을 완벽하게 섬멸하기 위한 이순신 장군의 최후의 전투를 그린 전쟁 액션 대작. 김윤석은 굳건한 신념과 현명한 성정을 지닌 조선 최고의 장군이자 조선의 바다를 지키는 조선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 역을 맡아 열연을 펼쳤다.
이날 김윤석은 "시나리오로 러브레터를 받았고, 전체 브리핑을 들었다. (김한민 감독이) 대본을 한 장 한 장을 넘기면서 왜 이 장면을 넣었는지 설명했다. 일단 제가 그 자리에 나갔다는 건 이 작품에 매력을 느꼈다는 거다. 아니면 만나지도 않았을 것"이라며 "그 브리핑이 끝날 때까지 유지가 됐다. 감독님의 선택에 충분히 공감했고, 나는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수밖에 없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그는 '노량: 죽음의 바다' 시나리오의 첫인상에 대해 "'명량', '한산: 용의 출현'까지 나왔을 때 노량해전까지 그려지겠구나 싶었다. 그런데 실제로 저한테 왔을 때 부담스럽기도 하고, 호기심도 생겼다. 근데 시나리오를 봤는데 역시나 훌륭하다고 생각했다. 노량해전뿐만 아닌 7년 전쟁의 의미, 조선과 명, 왜 3국의 입장과 관계가 뒤얽혀 있는 드라마의 밀도가 굉장히 좋았다"고 말했다.
이어 "'노량: 죽음의 바다'에서는 7년 전쟁 동안 이순신 장군의 연과 한이 나올 수밖에 없는 장면이 될 수밖에 없겠다. 그런 것이 없었다면 ''명량'과 '한산: 용의 출현'에서 장군님의 모습이 다 나왔는데 내가 할 필요가 있나?'라는 생각이 들었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특히 '노량: 죽음의 바다'에서는 이순신 장군의 최후가 그려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부담감도 컸을 터. 김윤석은 "'1987'의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라는 대사도 그렇고, 이순신 장군의 최후와 유언도 그렇고, '이 대사를 내가 한다니'라는 마음이었다"며 "그 장면을 찍을 때는 '장군님이라면 이 치열한 전투의 정점에서 죽음을 맞이했을 때 어떤 감정이었을까?'라는 생각을 많이 하면서 대사를 하려고 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리얼타임 연예스포츠 속보,스타의 모든 것’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리얼타임 연예스포츠 속보,스타의 모든 것’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