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서울의 봄'의 주역 정우성이 동료 배우들을 향해 뼈있는 일침을 날렸다.
정우성은 지난달 30일 성시경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성시경과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다.
이날 성시경은 정우성과 황정민이 각각 이태신, 전두광 역을 맡아 열연한 영화 '서울의 봄'(감독 김성수)에 대해 "돈이 아깝지 않을 정도의 화려한 캐스팅과 연기였다"고 평했다.
이에 정우성은 "(배우들이 하는) '한국 영화 어렵습니다' '한국 영화 찾아주세요'라는 구호가 사실 난 무색하다. 염치가 없는 거다"고 운을 뗐다.
이어 "나는 일을 할 때도 오전에 잠깐 시간이 남으면 요즘 개봉하는 한국 영화들을 다 극장에 가서 본다. 어느 순간부터 현장 예매가 너무 쉬워졌더라. 극장 로비에 티켓을 끊고 남은 시간 기다리라고 소파가 있었는데 얼마 전 '소년들'을 보러 갔는데 그게 다 없어졌더라. 극장들이 어려워지니까 인력을 줄이기 위해 소파를 없앤 거다. 그게 있으면 사람들이 앉을 거고, 청소하는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정우성은 "나는 소파가 없어진 걸 바로 알았지만 그걸 알고 느끼는 배우가 몇이나 되겠냐"며 "배우들에게 한소리 하고 싶었다. '너희가 찍은 영화만 극장에서 봐달라고 하지 너희가 한국 영화를 극장에서 보냐'고 쓴소리를 하고 싶은 거다"고 일갈했다.
정우성의 이런 발언은 한국영화의 위기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더욱 뼈있는 일침으로 다가온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극장 산업이 위축됐다는 위기 의식이 팽배한 가운데, 올 한 해 역시 한국영화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막대한 제작비가 투입된 텐트폴 영화와 설·추석 극장가를 타깃한 영화들 모두 좀처럼 힘을 발휘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당장 상영관 잡기조차 어려운 저예산 영화들의 처지는 더 녹록하지 못한 상황이다.
한국영화가 위기라면 그 안에 발을 담그고 있는 배우들, 관계자들이 먼저 나서서 극장을 찾고 보다 활성화시킬 방안을 생각하자는 정우성의 쓴소리는 현재 영화계에 꼭 필요한 일침이 아닐까.
"다른 배우의 영화, 다른 한국 영화, 저예산 영화든 뭐든 무조건 극장에서 봐야 한다. 내가 한 명의 관객으로서 행동을 해야 하는 것"이라는 정우성의 말처럼 일반 관객뿐만 아니라 배우 자신들도 영화 산업의 부흥을 되찾기 위해 직접 행동으로 나서 변화를 도모해야 할 때다.
김노을 기자
| sunset@mtstarnews.com
정우성은 지난달 30일 성시경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성시경과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다.
이날 성시경은 정우성과 황정민이 각각 이태신, 전두광 역을 맡아 열연한 영화 '서울의 봄'(감독 김성수)에 대해 "돈이 아깝지 않을 정도의 화려한 캐스팅과 연기였다"고 평했다.
이에 정우성은 "(배우들이 하는) '한국 영화 어렵습니다' '한국 영화 찾아주세요'라는 구호가 사실 난 무색하다. 염치가 없는 거다"고 운을 뗐다.
이어 "나는 일을 할 때도 오전에 잠깐 시간이 남으면 요즘 개봉하는 한국 영화들을 다 극장에 가서 본다. 어느 순간부터 현장 예매가 너무 쉬워졌더라. 극장 로비에 티켓을 끊고 남은 시간 기다리라고 소파가 있었는데 얼마 전 '소년들'을 보러 갔는데 그게 다 없어졌더라. 극장들이 어려워지니까 인력을 줄이기 위해 소파를 없앤 거다. 그게 있으면 사람들이 앉을 거고, 청소하는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정우성은 "나는 소파가 없어진 걸 바로 알았지만 그걸 알고 느끼는 배우가 몇이나 되겠냐"며 "배우들에게 한소리 하고 싶었다. '너희가 찍은 영화만 극장에서 봐달라고 하지 너희가 한국 영화를 극장에서 보냐'고 쓴소리를 하고 싶은 거다"고 일갈했다.
정우성의 이런 발언은 한국영화의 위기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더욱 뼈있는 일침으로 다가온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극장 산업이 위축됐다는 위기 의식이 팽배한 가운데, 올 한 해 역시 한국영화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막대한 제작비가 투입된 텐트폴 영화와 설·추석 극장가를 타깃한 영화들 모두 좀처럼 힘을 발휘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당장 상영관 잡기조차 어려운 저예산 영화들의 처지는 더 녹록하지 못한 상황이다.
한국영화가 위기라면 그 안에 발을 담그고 있는 배우들, 관계자들이 먼저 나서서 극장을 찾고 보다 활성화시킬 방안을 생각하자는 정우성의 쓴소리는 현재 영화계에 꼭 필요한 일침이 아닐까.
"다른 배우의 영화, 다른 한국 영화, 저예산 영화든 뭐든 무조건 극장에서 봐야 한다. 내가 한 명의 관객으로서 행동을 해야 하는 것"이라는 정우성의 말처럼 일반 관객뿐만 아니라 배우 자신들도 영화 산업의 부흥을 되찾기 위해 직접 행동으로 나서 변화를 도모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리얼타임 연예스포츠 속보,스타의 모든 것’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리얼타임 연예스포츠 속보,스타의 모든 것’ 스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